위생환경 위기 느낀 교수들 대한위생과학회 창립-위생사 사후관리 정부 손 놓고 있어
코로나 19 이후 소독 위생에 국민 관심 높아져 10만여명 위생사 사후관리 정부 손 놓고 있어 위생환경 위기 느낀 교수들 대한위생과학회 창립 코로나19로 방역과 소독등 위생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보건복지부가 위생사관리에 손 놓고 있어 정부의 위기의식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현실을 보다 못한 위생관련 전문교수들이 ‘대한위생과학회’를 설립하고 창립총회를 8월 17일 개최했다. 회장에 장재선교수(가천대학교), 감사에 이준협(고려대교수),최은영(부천대),실행이사로 총무에 권현주(가천대),학술이사에 홍승희(신한대),편집이사에 구옥경(충남대),사업이사에 노재필(신구대),홍보이사에 강공언(원광보건대)교수가 선정되었다. 분과위원회로는 위생정책분과 전승호(원광대),위생법령 김명호(동강대),공..
길샘 김동환의 문화탐색-멕시코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의 뮤지칼 ’프리다‘
멕시코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의 뮤지칼 ’프리다‘ 소아마비,교통사고로 육신의 고통속에도 피어난 꽃 4명의 여성배우들이 120분간 화가의 삶을 펼쳐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 한국의 화가 나혜석을 연상 시를 비롯한 문학,회화,음악,조각,오폐라,뮤지칼,연극등 모든 예술작품과의 첫 만남에서는 사전 정보나 관련 자료를 엿듣지 않고 작품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것이 나의 예술감상법이다. 작품해설,평론,작가소개등 모든 부언 설명은 작품과의 순수한 교감을 상실시키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산책을 하면서 이름 모를 꽃을 만나도 헨드폰 네이버를 검색하지 않고 나만의 이름을 붙여주고 꽃의 전설을 만들며 나만의 그림을 그려간다. 이성과의 첫 만남도 우연함속에 호기심이 솟고 사랑이 출렁이는 감동과 흥분..
동두천 공업용수 시범 세척사업- 대형관 경제성 위해 최적거리 설정과 배출수 처리방안 논의되어야
동두천 공업용수 시범 세척사업이 던진 숙제 세척공사 경제성,실효성 최적화 방향 분석필요 10억원 연구용역사업에 세척사업만 무료봉사 수자원공사가 시행하는 에 따른 동두천 시범세척사업이 마무리 되었다. 시범세척사업은 ‘광역,공업용수도 관세척 기본계획 수립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총 10억6천4백만원을 투자하여 지난해 2022년 7월부터 24년 1월까지 18개월동안 시행되는 용역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다. ㈜건화(50%),제일엔지니어링(25%),선진엔지니어링(25%)등 용역사가 참여하여 세척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관세척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용역사업이다, 주요 조사는 관세척 완료 소요시간을 비롯하여 세척 전,후의 관내부 상태 CCTV조사, 도장재,침전물등 내부 이물질 상태조사,세척전,후의 시료채취,..
4천억원 제주 공공하수처리사업에 국산기술 배척-과거형 기술진단으로 외국 기술만 설계에 반영
제주공공하수 최종 처리 드럼스크린 국산화 외면 멤브레인도 국산 외면하고 외국산으로 설계 4천억원 하수처리사업에 국산기술 배척한 공공사업 환경기초시설의 혐오 이미지를 개선하고 자연, 주민, 처리시설이 공존하는 제주 랜드마크의 시작인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착공식이 지난 6월 15일 있었다. 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은 전체사업비 3,980억 원(국비 1,886억 원, 지방비 2,114억 원)을 투입하여 하수처리규모가 13톤일에서 22만톤/일로 증설된다. 모든 처리시설이 지하에 설치되어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시설의 상부는 에코스포츠존, 생태문화존, 생태복원존, 해양경관존 등 주민과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생태공원으로 조성된다. 이 사업의 발주와 건설사업관리는 한국환경공단에서 담당하며 시공은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