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 이슈/칼럼

진정한 성공은 개발에서 판매까지

진정한 성공은 개발에서 판매까지

-영등포정수장,포항하수처리장을 보며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수명은 평균 7-8년이다.

10년도 넘기지 못한다.한 기업의 창업에서 페업까지의 기간이 아니다.

환경국제전략연구소가 지난 2010년 환경부로부터 연구자금을 받아 국내 우수환경기술을 조사하면서 이들 기업들의 핵심기술에 대해 수명을 조사한 결과물이다.

좀더 세부적이고 면밀한 조사연구가 필요하지만 대체적으로 기업들이 기술개발에 착수하여 현장적용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산골 밤하늘의 별만큼이나 무수한 변수들이 많지만 단명하는 주요 원인을 분석하면 대략 이런 원인으로 지목된다.

우선은 환경산업은 정책에 따라 요동치는데 그 정책 기조가 너무 널뛰기 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환경 관련법이 정치적,정권적 변화에 너무 쉽게 변질되고 희석된다는 점이 눈에 뛴다.

이는 곧 정책적 불신으로 다가가 기업들은 장기적인 전략이나 연구보다는 단피적인 즉각적 대응에 더 익숙해져 있다.

결국 경영기법이라기 보다는 단기적이며 순간적인 대응인 권력형 영업을 조성하는 원인이 된다.

또 하나의 결정적 요인으로 국가가 사회적 현상을 뒤늦게 발견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술개발에 지원을 하지만 결과적으로 성공률이 낮다는 것은 통계가 증명하고 있다.

근본적인 원인은 개발에는 정부지원을 하지만 개발 이후 시장개척이나 현장적용에 대한 그 어떤 대책도 없다는 점이다.

정부나 관련 단체의 종사자들의 한결같은 변명은 지극히 간단 명료하다.

정부를 포함한 공공기관에서는 개발된 상품에 대해서는 시장경쟁원리에 맡겨야지 개발된 특정 제품을 강제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는 변명만을 나열한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고가의 정수기,냉장고등 전자제품등을 구입할 경우에도 그 제품에 대해 광고,매장에 설치된 제품에 대한 관찰,주변 지인들의 추천,가격,서비스,디자인등 다양한 면을 꼼꼼히 살펴보고 선택한다.

하물며 환경산업제품들은 부품도 있지만 시스템의 중요 인자인 종합적인 기술력과 완성도가 검증되어야 선택하게 된다.

환경제품들은 대부분 일반인보다는 국가나 지자체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환경법에 따라 필수적으로 선택하는 제품들이다.

그래서 현장적용한 사례를 눈여겨보고 관찰하고 평가해서 어렵게 선택할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제품중에는 막여과기술,기상레이더장치,계측기, 조류경보장치,탁도측정기,폐수처리장치,바이오에너지설비등 세계적으로도 경쟁력이 높은 중요 기술들이다.

그러나 개발된 제품을 구매하고자 지자체가 현장적용사례를 요구해도 현장적용실적이 없어 기업들은 현장적용을 하기 위해 또다른 영업력을 펼쳐야 한다.

어쩌면 기술개발보다 더 어려운 영업전략을 펼쳐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로 진출하기란 더 어렵다.

변수는 또 있다. 개발은 중소기업이 하고 그 개발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건설은 대기업이 하는 것이 환경산업의 구조이다.

그러나 대기업이 사업수행의 갑질 행사가 너무도 심각하다.

운영관리면에 대해서는 비밀에 감추고 문제발생시 제품개발한 중소기업에게만 그 책임을 전가하기 일쑤다.

이에 추가되는 비용도 중소기업에게만 일방적으로 전가한다.

실제 개발한 중소기업은 운영관리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기도 어렵다.

일본에서 막공정 개발을 경쟁적으로 펼치던 10여년전 일본 현장을 찾았다.

일본에서는 영등포정수장에 설치된 막공정 현장처럼 정수장마다 기술개발한 중소기업,운영관리를 총괄하는 대기업 그리고 관련 지자체 3인이 함께 운영관리에 관여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이같은 작업을 7년간에 걸쳐 시행한 결과를 가지고 수출제품으로 완성한다고 말한다. 한마디로 정보의 공유를 하며 상호 보완점을 찾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주관기업인 대기업 홀로 운영관리에 참여하고 그 정보를 공유하지도 않는다.

이래서 허위 보고,일테면 수질분석자료등의 보고서나 관리의 허점을 마치 제조사의 문제로 퉁쳐 버리는 일들이 빈번하다.

영등포정수장의 경우에도 코오롱과 대우가 각각 침지식과 가압식을 가지고 시범운행을 했다.

하지만 정작 기술개발한 중소기업에게는 정확한 정보가 없다.

그저 사건 통보 후 현장에 가서 확인하고 교체하거나 수리하면 그 뿐이다.

시설을 제공한 서울시 측도 직접 관여하지 못하고 기업에 의존하는 형태이다.

이같은 현실은 모든 환경시설에 비슷하게 적용되고 있어 항상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결국 참여한 대기업이 사업을 포기하면 관련 기술은 매장되고 세월호보다 더 깊숙이 침몰하고 만다.

언제 인양되어 다시 빛을 볼지도 미지수이다.

상하수도협회가 해외 기업제품의 국내 진입을 일정기간 차단하여 국산 제품을 장려해야 하는 전략적 인증제도도 너무 쉽게 해외제품을 개방한다.

국제적으로 WTO등의 문제가 거론된다지만 그래서 기업들의 모임인 협회가 이를 절묘하게 운영해야 한다.

이제 우리도 넋놓고 미국이나 일본만을 의지한체 그들의 제품만을 무조건 좋다고 평가하지 않는 시대에 왔다.

전자제품등은 이미 외국제품을 자랑처럼 구매하지도 않는다.

그런데도 환경산업 전반은 국산제품을 노예 취급하듯 팽쳐 버리는 행위가 지속되고 있다.

국가가 국민의 세금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한 제품을 외면하고 국가가 시장을 열어 외국제품을 구매하는 행위는 결단코 막을 내려야 한다.

우리나라만 자생하는 못난 습성을 이제는 버려야 한다.

환경산업에서는 지역이기주의보다 더 심각한 현장의 비명섞인 외침이다.

 

*시인,수필가,환경국제전략연구소장,한국문인협회회원,한국작가회회원,한국펜크럽회원

 

'뉴스 & 이슈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린 도어가 지하철 역사 공기 더 악화  (0) 2015.04.30
혁신을 통한 온실가스 줄이기  (0) 2015.04.30
친구들의 초상화  (0) 2015.04.30
거안사위(居安思危)  (0) 2015.04.30
토종식물과 바이오산업  (0) 201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