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 이슈/뉴스

<130호>[환경]상수도용 강관 원자재 불량한 중국산 범람

 

[130호] 2011년 7월 21일 목요일 
 

상수도용 강관 원자재 불량한 중국산 범람

납품단가 맞추려면 중국산 불가피

불량률 35%나 돼 서울시 올 3월 KS인증제 강행

수공, 지자체 대부분 중국산 차단책 없어

국산 강판으로 만든 강관은 검증되지 않은 중국산에 비해 크랙 위험성이 낮고 가공성과 용접성 등이 월등히 뛰어나다.
 
 
상수도에 납품되는 도복장 강관 중 직관의 철판 원자재에 성분미달과 제조기술에 문제가 있는 값싼 중국제 비품이 범람하고 있다.
지난해 겨울, 서울시 대형 강관에서 큰 누수가 일어나 원인조사를 해보니 중국산 원관에 크랙이 갔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소 강관 업체들의 중국산 원자재 사용은 이미 오래전 일. 과도한 입찰경쟁으로 국산 원자재를 사용하면 납품단가를 맞추기 어려워 중국제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물론 중국산인 경우에도 5대 철강 등 몇몇 유명제품은 KS기준으로도 문제가 없는 제품도 있으나 관세와 운송비 등을 계산하면 국산보다 결코 저렴하지 않기 때문에 수입되는 대부분의 중국 원자재는 질적으로 국산에 비해 월등히 취약한 제품.

직관 및 이형관을 포함한 도복장 강관의 납품검사에서 재료 성분분석을 철저하게 하기 때문에 납품되는 제품은 비록 중국산 비품일지라도 검사를 통과한 제품들이다. 그러나 국내에 수입되는 중국 5대 철강을 제외한 업체의 철강은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의 제품에 비해 여러 면에서 취약하다.

중국산은 국내산에 비해 탄소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타 성분 함유량이 균일치 않아 가공성 및 용접성이 떨어지며, 압연기술도 현격히 떨어져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다. 게다가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전혀 검증되지 않은 비품이 대량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하자 발생확률이 높다.

더 큰 문제는 대부분의 중국산 철강에는 보론(붕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경도는 높지만 누르는 힘을 받거나 가공 시 철판에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 수도용 강관 재료로 전혀 적합지 않다는 점이다.

수도용으로 적합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바늘과 같은 철강재에 포함되는 보론 성분 함유 철강이 수입되는 이유는 중국의 수출세 및 수출 증치세 환급정책 때문. 중국 세관은 합금강을 수출할 경우 일반 강철에 부과되는 수출세를 환급해준다. 이점을 악용해 중국 철강회사들은 보론을 첨가해 일반 열연강을 합금강으로 둔갑시키는 편법을 쓰고 있다.
 

국내 강관 납품기준에는 탄소(C), 인(P), 황(S)에 함유율에 대한 허용기준만 있을 뿐, 보론 성분의 함유 여부는 무관하다는 허점을 악용하고 있다. 보론이 함유된 제품은 겨울철에는 마치 얼음판과도 같아서 단단하지만 어느 한 순간 쉽게 금이 가고 깨질 수가 있다.

불량률에서도 중국산은 심각한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중국 강판의 입고 차수별 품질을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입고수량 5,437매 중 1,134매를 점검한 결과 불량 등급이 무려 399매나 돼 불량율이 35.2%에 달했다.

특히, 8차 입고 강판의 불량율은 무려 45%에 달해 전수검사를  실시하는 등, 제품의 질이 일정치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예전부터 원자재인 철판이 국내 KS인증업체 제품일 경우 자체성적서만으로 납품이 가능하게 하고 수입산의 경우는 공인시험기관의 의뢰를 받아 검사에 합격해야만 납품하도록 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핸디캡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이 여전히 중국제 수입이 증가하고 지난해 말 누수사고가 터지자 올 3월부터 원관을 반드시 KSD3503(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인증을 받은 것만 사용하도록 개정한바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에 강관을 납품하는 업체들은 기존 중국산 원관에서 모두 국산으로 바꿔 현재는 중국산이 들어오고 있지 않다. 서울시 주요 납품업체인 A사도 ‘09년 납품 시에는 중국 ’쇼우강 철강‘에서 원관을 들여오다 올해부터는 현대제철 원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수자원공사의 경우와 인천, 부산, 구미 등 대부분의 지방대도시의 경우에는 규격에 관한 직관과 이형관 별 KS기준만을 적용할 뿐, 서울시처럼 원자재에 대한 별도의 KS규정을 두지 않는 실정이다.

직관의 경우 KSD3565, 이형관의 경우 KSD3578에 적합하기만 하면 납품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당국은 원관이 중국산인지 국산인지 조차 별다른 관심이 없어 중국산 제품에 대한 실태파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결과적으로 서울시의 새로 바뀐 규정으로는 납품단가를 맞출 수 없는 중소업체들은 줄줄이 도산이 예고되고, 지방은 여전히 저질 중국산만 판치고 있는 현실이다.

결국 수도관의 생명인 관의 원 품질보다 외형인 도장에만 치우치다보면 누수나 녹물은 과거형으로 돌아갈 염려가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심화섭 기자(shs@el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