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정수처리와 온실가스
환경부는 온실가스와 에너지 감축에 대한 농식품부, 지경부, 국토부와 통합적으로 목표관리우선대상업체인 600개 업체에 대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를 관리하고자 하는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목표관리 대상은 발전 제조 등 산업부문 550여개, 대학 및 놀이공원 등 30여개, 소각, 하수처리 등 폐기물 분야 20여개가 우선 관리대상이다.
목표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점검평가를 통해 실태조사와 검증기관을 지정하여 이행실적을 평가한다는 것이 정부가 마련한 시행계획이다.
세계 7대 녹색강국으로 가기위해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0%를 감축한다는 목표아래 구성한 범 부처별 사업추진안을 최근 공청회를 통해 발표했다.
지구의 기후변동역사를 보면 약 6억년 이전의 원생대 말기부터 현재까지 원생대말기,고생대말기,신생대 등 3번의 저온기가 출현한 바 있다.
반면, 고생대의 데본기, 석탄기, 중생대의 백악기 등은 고온기로 알려져 있다. 신생대 제 4기의 100만 년 동안은 저온기로 4번의 빙하기가 출현되기도 했다. 빙하기나 온난기에도 짧은 주기의 기후변동은 여러 번 일어나고 있다.
최근 1350-1800년경은 저온기로 소빙하기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1400년경 전후와 1700년경 전후는 특히 저온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800년 이후로는 다시 온난기로 전환되었다.
요즘 우리가 문제시 하고 있는 지구온난화는 과거의 자연적 변동과는 달리 인류의 화석연료와 대량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에 의한 문제라는 점에서 세계가 비상이 걸려 있다.
블로킹, 엘리뇨 현상 등 이상기상과 유해폐기물 문제, 대기오염, 산성비, 오존층 파괴. 사막화, 에너지소비 등은 지구온난화를 부추기고 파괴로 인한 이상현상을 잘 보여주는 현상들이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 우리나라를 녹색성장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위해 온실가스와 에저지저감 대책을 내놓고 있다.
각 부처별로 관련분야를 책임지고 관리하는데 환경부의 주요 관리대상으로 소각 등 페기물 시설과 상하수도 사업이 핵심대상이다.
최근 수자원공사는 자체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댐과 정수장에 대한 탄소성적표지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실행, 관리방안을 강구하여 물분야에 있어서 타 지자체의 모법적 사례를 보여주었다.
반면 서울시, 부산, 대구, 인천시 등은 안정적인 식수공급을 위해 정수장 시설을 고도화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업을 마련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오는 7월이면 그 결실이 영등포정수장을 비롯하여 고도처리 된 시설물들이 문을 열게 된다.
물론 낙동강을 원수로 하는 부산과 대구는 이미 90년대 중반 이후 고도처리 된 정수장을 운영하고 있다.
당시에는 에너지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여론형성이 없었던 시절이다.
그러나 지금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측면과 에너지 저감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방향도 설계에 마련되어 있어야 했다.
하지만 어떤 설계에도 이 같은 에너지저감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가적 노력에 상응하는 노력은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실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에너지발생이 취수장분야와 펌프, 그리고 응집제 생산공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응집제의 성상만을 바꿔도 에너지저감이 4배 이상 차이가 나고 펌프모터의 교체만 해도 에너지가 저감되며 정수공정 시스템을 친환경적으로 변환만 해도 에너지와 온실가스 저감은 뒤따라져 온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지자체가 운영하게 될 고도정수처리시스템에서 에너지 저감을 위한 대응전략은 보이지 않는다. 외장용 태양열에너지, 소수력발전 등 기존시설에 부착하는 시스템 만을 곁다리로 설치하는 방향이다.
시급히 설계변경을 통해 온실가스 녹색성장국가 7위 안에 진입하기 위해서라도 수도산업의 총체적이고 전략적인 사업촉진이 절실하다.
목표관리 대상은 발전 제조 등 산업부문 550여개, 대학 및 놀이공원 등 30여개, 소각, 하수처리 등 폐기물 분야 20여개가 우선 관리대상이다.
목표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점검평가를 통해 실태조사와 검증기관을 지정하여 이행실적을 평가한다는 것이 정부가 마련한 시행계획이다.
세계 7대 녹색강국으로 가기위해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 대비 30%를 감축한다는 목표아래 구성한 범 부처별 사업추진안을 최근 공청회를 통해 발표했다.
지구의 기후변동역사를 보면 약 6억년 이전의 원생대 말기부터 현재까지 원생대말기,고생대말기,신생대 등 3번의 저온기가 출현한 바 있다.
반면, 고생대의 데본기, 석탄기, 중생대의 백악기 등은 고온기로 알려져 있다. 신생대 제 4기의 100만 년 동안은 저온기로 4번의 빙하기가 출현되기도 했다. 빙하기나 온난기에도 짧은 주기의 기후변동은 여러 번 일어나고 있다.
최근 1350-1800년경은 저온기로 소빙하기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1400년경 전후와 1700년경 전후는 특히 저온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800년 이후로는 다시 온난기로 전환되었다.
요즘 우리가 문제시 하고 있는 지구온난화는 과거의 자연적 변동과는 달리 인류의 화석연료와 대량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온실효과에 의한 문제라는 점에서 세계가 비상이 걸려 있다.
블로킹, 엘리뇨 현상 등 이상기상과 유해폐기물 문제, 대기오염, 산성비, 오존층 파괴. 사막화, 에너지소비 등은 지구온난화를 부추기고 파괴로 인한 이상현상을 잘 보여주는 현상들이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인지하고 우리나라를 녹색성장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위해 온실가스와 에저지저감 대책을 내놓고 있다.
각 부처별로 관련분야를 책임지고 관리하는데 환경부의 주요 관리대상으로 소각 등 페기물 시설과 상하수도 사업이 핵심대상이다.
최근 수자원공사는 자체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댐과 정수장에 대한 탄소성적표지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실행, 관리방안을 강구하여 물분야에 있어서 타 지자체의 모법적 사례를 보여주었다.
반면 서울시, 부산, 대구, 인천시 등은 안정적인 식수공급을 위해 정수장 시설을 고도화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업을 마련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오는 7월이면 그 결실이 영등포정수장을 비롯하여 고도처리 된 시설물들이 문을 열게 된다.
물론 낙동강을 원수로 하는 부산과 대구는 이미 90년대 중반 이후 고도처리 된 정수장을 운영하고 있다.
당시에는 에너지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여론형성이 없었던 시절이다.
그러나 지금은 안전하고 위생적인 측면과 에너지 저감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방향도 설계에 마련되어 있어야 했다.
하지만 어떤 설계에도 이 같은 에너지저감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국가적 노력에 상응하는 노력은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실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에너지발생이 취수장분야와 펌프, 그리고 응집제 생산공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응집제의 성상만을 바꿔도 에너지저감이 4배 이상 차이가 나고 펌프모터의 교체만 해도 에너지가 저감되며 정수공정 시스템을 친환경적으로 변환만 해도 에너지와 온실가스 저감은 뒤따라져 온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지자체가 운영하게 될 고도정수처리시스템에서 에너지 저감을 위한 대응전략은 보이지 않는다. 외장용 태양열에너지, 소수력발전 등 기존시설에 부착하는 시스템 만을 곁다리로 설치하는 방향이다.
시급히 설계변경을 통해 온실가스 녹색성장국가 7위 안에 진입하기 위해서라도 수도산업의 총체적이고 전략적인 사업촉진이 절실하다.
'뉴스 & 이슈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부가 치러야 할 또 다른 정책과제 (0) | 2010.08.02 |
---|---|
4대강 하천정비와 문어 파울 (0) | 2010.07.19 |
고학력자가 많은 지방선거 당선자들에게 (0) | 2010.06.18 |
공직자가 기업을 돕는 일 (0) | 2010.05.24 |
멍석은 한국이 깔고 장사는 독일이 (0) | 2010.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