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계 설치 후에도 지속적인 보정 필요
국내 사용되는 유량계는 기계식, 전자식, 초음파식 등으로 구별되어 사용되고 있다.
측정원리는 기계식의 경우, 날개의 회전을 계수하는 방식으로 날개의 회전속도가 유속에 비례하여 설계 되었다.
전자식은 패러데이법칙을 응용 자기장 속을 흐르는 유체가 발생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초음파식은 러시아기술을 부도난 창민테크가 국산화한 것으로 전달시간차 법을 이용 전달속도에 따른 시간의 차이를 유속으로 환산하는 측정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들 제품의 각각의 특성은 기계식은 원격지원이 안 되고, 기계작동부가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오차가 커지며 정밀도 낮고 불량률이 높으며 이물질에 대비하여 스트레이너 설치가 필요하다. 유속범위의 정확도는 2%(+-)이며 가격은 70만원에서 140만 원 정도이다.
전자식은 유체의 압력, 온도, 밀도, 점도에 영향 받지 않으며, 내부에 라이닝이 되어있어 배관 내 상태변화에 따른 오차가 적으나 외부전원이 필요하며 대구경은 고가로 400미리 이하가 적당하다.
오차범위는 0,5%(+-)이며 가격은 370만원에서 730만원까지 형성되어 있다.
초음파식은 대구경에 설치가 유리하며 취수관, 송수관에 설치가 용이하고 장비가 고가이나 배관 내 상태변화에 따라 유량계 오차가 크다. 외부 전원이 필요하고 직관부 확보를 해야 한다. 유속범위의 정확도는 1%(+-)이며 1천3백만 원으로 형성되어 있다.
<문장수 전문기자>
'192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과 상식- 물은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바람직 (0) | 2014.02.24 |
---|---|
노량진 수몰사고 하청업체에게 징역 2년 선고 (0) | 2014.02.24 |
갑오년의 화두 ⌜ 화기치상(和氣致祥)⌟ (0) | 2014.02.24 |
2014년 환경부 대통령업무보고 (0) | 2014.02.24 |
환경분야 WHO협력센터 과학원지정 (0) | 2014.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