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경영신문/181호

신기술과 제도의 빙벽

칼럼.jpg

 
 
 대기업의 경우 신년 초 혹은 하반기에 공채를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한다.
 그리고 이들에게 업무의 숙지와 더불어 새로운 창안을 주문한다.
 그들은 구태한 때가 안 묻었고 신선해서 발상의 전환을 통한 기술들이 많이 탄생되리라는 은근한 기대이다.
 과연 좋은 새로운 기술들이 이들에게서 많이 양산될까,
 외국의 한 조사기관에서 기업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로 신상품을 개발하는 층은 신입이나 초보사원보다는 노년의 노후화된 기술자들에게서 기술개발이 더 많이 이뤄진다는 보고는 매우 의미심장하다.
 물론 세부적으로 조사하면 이들 중 기술자적 양심과 철학을 지니면서 애사심을 지닌 직원에게서 더 많은 기술들이 재탄생된다는 점은 우리의 선입관에 대한 위험성을 다시금 일깨운다.
 우리나라 환경분야 중소기업 중에는 세부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새로운 환경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은 대부분 그 창의가 기업주에게서 탄생되고 있는 점을 쏠쏠하게 발견한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수도자재 관련 생산 제조하는 부덕실업의 경우 서울시 출신으로 영업과 제조를 하면서 제조중심의 사업을 30년간 이끌어온 김원택사장은 관을 절단하지 않고 물을 단수하지 않으면서도 관내부의 기타 장치와 관리를 할 수 있는 부단수 천공기술을 비롯하여 2002년부터 서울시 등 전국적으로 혁신을 일으킨 스텐레스 주름관,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용 계량기 보호통 등 산업사회에서 당면한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들을 1년에 평균 1건 이상 개발하는데 이들 기술들은 모두 사장의 눈과 실험을 통해 탄생된다.
 밤나무 등 나무에서 발생되는 탄닌 성분이 녹조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자연계의 속성을 구심점으로 녹조제거 기술을 개발한 엠씨코리아의 문병호사장도 기업주가 개발한 신제품이다.
 아직도 개발에 성공하고서도 시장 진출을 하지 못하는 에치투엘의 가압식막기술도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는 양익배사장의 똥배짱이 없었다면 탄생될 수 없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 환경분쟁 중 85%를 차지하는 소음 민원중 도로소음의 폐단을 중소기업으로서는 부담스럽기조차 한 30억 원 이상을 투자하여 개발한 저소음포장도 기업주가 발상의 전환을 통해 개발에 성공한 기술이다.
 신이철강의 김태진 사장도 겨울동안 단수를 해야만 하는 갑갑한 현실에서 동파를 방지하는 이중 보온관을 개발하여 양산 체계에 돌입하기도 했다.
 이들 기술들은 시장진출을 앞당기기 위하여 대부분 특허는 기본으로 받고 신기술등 정부가 인증하는 인증들을 받아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신기술과 인증을 받아도 시장 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국내 여건은 불확실한 투명 장벽이 사방에 가득하다.
 이들 환경제품들은 지방자치제나 공공기관에서 구매를 하게 된다.
 공무원들은 신기술 따위보다 비슷한 여건에(시설용량 등) 어디서 사용했냐가 첫 질문이다.
 그래도 시법설치를 해 보자는 공무원은 상당히 발전적 변신을 꾀하는 인물로 평가된다.
 누군가 사용했다면 신기술과 특허는 왜 필요한가.
 자신이 쓸데없는 의심과 감사에 지적받기 싫다는 짜증의 변이다.
 대기업 건설사들도 정보가 미약하여 스스로 판단하기보다 발주자의 의견에 춤을 춘다.
 과거에는 그래도 엔지니어링사의 전문기술사들이 자신의 선진식과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선택하여 설계에 반영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소신과 기술검증보다는 발주처의 의견에 고분고분 순종만 할 뿐이다.
 더구나 기술검토를 하는 수고도 그럴 시간도 없다.
 그저 경쟁사와의 가격경쟁을 통해 수주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결국은 기술을 개발한 기업들은 부도수표와 같은 신기술인증자료를 첨부물로 하고 공공기관, 설계사, 건설사, 시의회, 국회 등 모든 수단과 방법을 통해 로비를 하느라 이중의 시간과 돈을 낭비한다.
 시간과 자본이 부족한 기업들은 중도에 포기하고 신기술 인증기한을 넘기고 만다.
 국가가 공인한 기관에서 수차례 실험과 분석을 통해 인증한 인증서도 결국 로비라는 오래된 관행에 비해 그 가치가 평가 절하된다.
 그래서 많은 신기술들이 도태되고 시장에서 빛을 보지 못한다.
 해외에 진출하고자 방향을 틀어도 외국 바이어들이 국내 실적을 원함으로써 결국 해외진출도 가로막히고 정보만 누출하게 된다.
 신기술을 인증하는 인증기관도 미숙아만 출산하고 양육을 거부하고 있는 작태가 작금의 현실이다.
 정부는 올해도 R&D예산을 총 16조 244억 원을 편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과학분야가 15조, 인문계가 7,595억 원 정도로 부처가 12조, 국공립연구기관이 6,700억 원, 과기계 출연연이 2조 2천억 원등이다.
 이중 기초연구에 30%,응용연구 20%, 개발연구에 49%를 집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개발에 성공하고 시장 진출을 코앞에 둔 기업들은 대체적으로 정부지원보다는 자신이 투자한 기업들의 성공률이 높다.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도 시장을 열어주지 못하는 국가전략은 결국 미숙아를 조기 분만하고 홀홀히 떠나버리는 미혼모와 무엇이 다른가.
 애벌레의 흉한 허물을 벗어 버리고 세상을 유유히 날아다니는 노란 나비 떼를, 진정한 자유의 신기술을 바라면 그저 꿈인가.

'환경경영신문 > 181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인사   (0) 2013.09.04
인사동정   (0) 2013.09.04
하버드대학의 명문 30訓-1   (0) 2013.09.04
국내 최대 매립지 72홀 골프장 10개월 개장   (0) 2013.09.04
조류를 이용 차량연료 생산   (0) 201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