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 이슈/뉴스

노량진 배수지 사고, 안전관리는 발주처도 관여해야

 

환경수자원위 목숨 살릴 기회 수차례 있었다 지적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위원장 김용성)에서는 폐회중인 지난 22일 오전 10시부터 상수도사업본부로부터 서울 노량진 배수지 사고와 관련한 현안 업무를 보고 받고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해 질의하였다.
 이차순(새누리/비례)의원은 천호건설의 내부 자금사정에 의해 공사가 한 달간 중단된 것이 사고와 원인이 되지 않았냐는 질의에 상수도사업본부 정연찬 본부장은 사고당시 공정율 106%로 잘 진행되었으며 도달기지에 설치한 차수막 임시설치가 문제였다고 답변했다.
 86년 독립기념관 화재이후 민간감리가 시작되고 후에 강화되어 책임감리가 실시 시공, 품질, 재난재해, 안전관리 등 모든 공정을 공무원이 관여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도덕적 책임은 분명 있으며 안전관리측면이 강화되어 발주처가 직접 참여하는 제도개선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질의 과정에서 환경수자원위원회 의원들은 “한강홍수통제소의 팔당댐 방류 통보와 서울시 하천관리과의 홍수주의보 발령 상황 현장 전달 여부 및 한강 수위 변동에 따른 대처 미흡, 그리고 홍수 시 도달기지 내 한강물 유입 방지대책 미비” 등을 지적했다.
 오승록 의원(노원3)은 “사고 당일 오전 9시 사업장 안전점검 회의를 열고 10시에 해당 사업장에 현장 점검 지시를 했음에도 사고 당일 오후 2시 30분 서울시 하천관리과에서 ‘한강대교 수위 4.5m 도달, 홍수 위험에 주의하라’는 경고 문자를 전달 받고도 다시 한 번 감리단장이나 현장 사무실에 현장 점검 지시를 왜 안했는지”를 지적하자
 박기범 과장은 “오전에 1차 통보하고 홍수 시 수방계획서 상의 매뉴얼에 따라서 현장에서 조치할 것으로 판단하여 별도로 현장 점검 지시를 하지 않았다”고 답변하였다.
 이에 의원들은 “상수도사업본부에서 감리사나 시공사에만 의존하지 않고 조금 만 더 적극성을 가지고 세심하게 한강수위와 팔당댐 방류량의 변동 상황을 확인해서 현장 점검을 지시했다면 이번과 같은 목숨을 잃는 불행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리고 감리사와 시공사에 대해서는 “사고 당일 팔당댐 방류량 증가 및 한강수위 상승에 따른 위험 수위 판단이 적절했는가, 전달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는가, 위험을 알고서도 시공사가 공사를 강행했는가”에 대해서도 명확한 진상조사가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했다.
 “도달기지는 설계상 물이 넘칠 수 있는 임시 시설이고 기존관과 연결된 이후 메워야 하는 시설로써, 도달기지의 기존관 연결공사가 당초 6월 30일 완료에서 7월 13일로 미루어지는 등 사고 당일까지 공사가 완료되지 못한 것이 이번 사고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으며 한강 수위가 4.8m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도달기지로 한강물이 유입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당시 한강 수위 상승에 따라 도달기지 내로 한강물이 유입될 수 있음을 상수도사업본부에서는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달기지에 대한 안전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점과 기존관 연결 공사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명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신찬기 전문기자>
 

 

 

 


목숨, 기어코 살릴 수 있었는데

 
 
터널 내 레일철거 작업인원

 



차수막 파열 직후(사고당시 16:50)
- 전진기지 3명, 중감지점 6명 무사히 철수
- 차수막 주변 8명 중 1명 탈출 성공
 
대피시설은?
- 순차적 전달인가, 동시전달인가.
- 레일 철거 과정인데 쉽게 뛸 수 있었는가.
- 당시 터널 안 조명 시설은?
- 수중 모터 펌프 가동했다면? (수중 모터는 왜 일찍 철거했나.)
 
최종원 부장 카톡으로 위험보고(16:13)
- 차수막 튼실히, 뚜껑 달렸다면
- 공사 완료 후 차수막 뚜껑 완전 밀폐했다면
- 차수막 높이 2m에서 그 이상 높였다면
- 콘크리트 타설로 입구 완전 차단  했다면
- 상·하류 역류 등 다각적 검토했다면
 
※통수 위험수위 전달 과정 중
– 전달 못했는가.
- 전달이 늦었는가.
- 전달했는데 작업 중이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