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경영신문/187호

물떼새와 스케일부스터

물떼새는 물가 살짝 드러낸 곳에 둥지를 튼다.
자갈밭이나 모래밭에 둥지를 만들다 보니 알과 새끼들이 공격당할 염려가 높다.
그래서 둥지로 가거나 떠날 때에는 최대한 낮은 포복으로 조심스럽게 지나간다.
천적이 나타나면 둥지와 상관없는 곳에서 알을 품는 시늉을 한다.
 그래도 천적이 따라오면 다친 새처럼 날개를 비틀고 땅에 주저앉아 다친 것처럼 거짓몸부림을 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반드시 알이 부화하고 있는 둥지와는 떨어진 곳에서 그 추태를 부린다.
최대한 둥지와 떨어진 곳으로 천적을 유인하고서야 날아가 버린다.
 요즘에도 특광역시 수도관련 간부들이 회동을 하면 주요 현안업무 중 하나로 스케일부스터, 이오렉스, 워터마스터와 같은 물리적 화학적 수처리기기에 대한  검증문제이다.
 
 이미 여러 곳에서 검증을 했건만 왜 하냐는 소리는 말 못하고 답답한 마음으로 고민만 하다 헤어진다.
 마치 둥지를 온전히 보전하기 위해 가짜로 알을 품는 물떼새 같은 연상이 이런데서 겹쳐진다.
 서울시에서는 물리적 처리시스템에 대해 이미 2001년부터 실험과 연구를 반복했으니 13년간의 몸부림이다.
 
 대우엔지니어링에 10개사 제품을 검사한 결과 95일과 223일이 경과한 후 사진촬영 및 철 용출분석결과 부식방지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고 했다.
 모형장치를 통한 실험결과에서도 포항공대 박수문교수는 전문가와 업체 간의 상호합의하에 1,2차 실험을 했어도 수처리기를 사용하지 않은 결과와 별 차이가 나지 않아 부식을 억제한다고 말할 수 없다고 하기도 했다.
 전주시에서는 수도조례에 반영(08년 7월)했었으나 09년 삭제하는 오락가락 행정도 자행했다.
 
 하지만 대구시가 아파트에 이오렉스를 설치전후에 대한 비교실험에서는 설치 전 일반세균이 84마리였으나 설치 후에는 한 마리도 검출되지 않았고 경도와 증발잔류물은 약간 내려갔다
 그러나 설치 3개월에는 257이 171로 낮아졌다가 6개월 후에는 다시 204로, 10개 월 후는 0으로 14개월 후에는 경도가 116에서 86으로 황산이온은 65에서 15(3개월),38(6개월),26(14개월)으로 올라가 분석에 대한 명확하고 과학적인 논리가 어려운 결과물을 내놓기도 했다.

 환경부에서도 당시 최용철 (현 상하수도협회부회장)수도정책과장시절인 06년경 독일 출장까지 갔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말았다.
 수도산업 분야에서 정권이 바뀌거나 시장 등 행정책임자가 교체될 시기마다 빈번하게 논의되는 것이 바로 물리적 수처리기기의 현장검증과 구강보건을 위한 불소투여에 대한 찬반여론이다.
 
 서울시만 해도 01년부터 6차례 이상 실험과 연구 분석을 해왔다.
 그런데도 지자체는 매년 또다시 동일한 기기장치에 대한 연구 분석을 하기 위해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전국의 지자체들이 검증을 위해 매년 돌아가면서 연구 분석을 한다는 것은 정말 이해하기 힘들고 어이없다.
 그것은 지자체들도 타 지자체가 연구한 결과물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또한 이같이 복잡한 민원이 걸린 문제에서는 협회나 학회 등이 공개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물을 제시한 기업과 지자체가 애끓는 물떼새의 비명을 다시는 지르지 말아야 한다.
 상수도연구기관협의회가 결성되어 동일한 연구에 대해서는 상호정보교환을 통해 반복적이고 비경제적인 연구는 지양하자는 의견도 공염불이 되고 말았다.
 부식문제는 분명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자석을 이용한 스케일제거 장치는 이미 80년대 후반부터 국내에서는 다양하게 사용해왔다.
 국방부,한전,수자원,제약회사, 제철소, 제지회사 등에서도 이 같은 처리시스템을 활용하기도 했다.
 2천 년대에 와서는 아파트등 대규모 공동주택에 많이 설치되어 왔다.
 그렇다면 환경부가 방관만 하지 말고 종합적인 연구보고서를 만들어 다시는 지자체가 반복적인 연구 분석을 하느라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해서는 안 된다.

 조건에 따른 물리적수처리기의 변화와 효과, 경제적 측면에서의 설치타당성 여부, 그동안 설치된 곳의 경과여부, 설치 제품별 차이, 운영관리의 효율성 등 다양하게 정돈된 종합연구가 필요하다.
 물론 이 같은 결과물에 대해 설득력을 얻으려면 기업들도 참여해야 하고 시민단체와 전문가가 혼재된 연구가 필요하다.
 업계 간의 다툼으로 특허권 침해 소송 등 치열한 시장경쟁이 일기도 했지만 8,90년대 스케일제거장치사업은 성공한 기업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만큼 영세성 기업들이 많다고 하지만 참말로 관의 부식을 사전예방하는 기술이라면 당연히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지자체는 신뢰할 수 없는 제품인데도 압력을 행사하여 공무원만 시달리게 한다는 피해의식 속에, 기업인들은 비판적 시각 속에 공정한 잣대라기보다 안 되는 방향으로 몰고 간다는 비판을 청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누구나 납득할만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보고서가 나와야 한다.
 한해를 마무리 하면서 떠나가는 뱀의 해 구렁이 담 넘어가는 행태는 종료하고 누구나 명확하게 판명할 수 있는 그런 연구가 새해에는 진정 이뤄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