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업 녹색기술 및 기업 인증 합격률 45%
지난 해 대창, 에코필, 대윤 등 39개 기업 받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김용근)은 녹색인증사무국에서는 작년부터 녹색인증을 주고 있다. 녹색인증은 녹색기술인증, 녹색사업인증, 녹색전문기업 확인의 3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증 받은 기업에는 세제, 융자, 판로·마케팅지원 및 특허·국제특허출원시 우선심사 및 가점부여, 병역특례지정업체 선정시 가점부여, 조달청, 국방부 물품구매 적격심사시 가점부여, 인증신청시 신규로 부담한 성능시험검사비용 50%환급, 국가녹색기술대상 참여시 가점(2점)부여, 지경부, 환경부 등 R&D 참여시 가점 부여 및 녹색인증 수수료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녹색기술인증은 10대분야 유망 녹색기술(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첨단수자원, 그린IT, 그린차량, 첨단그린녹색도시, 신소재, 청정생산, 친환경농식품, 환경보호 및 보전)을 대상으로 한다.
녹색사업인증은 녹색기술·녹색제품을 이용하여 에너지·자원투입과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녹색전문기업 확인은 창업 후 1년이 경과한 기업으로 인증 받은 녹색기술에 의한 직전년도 매출액 비중이 총 매출의 30% 이상인 기업에 부여된다.
인증은 각 부에서 지정한 기관에서 평가를 받아 다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심의위원회를 거쳐 해당 부의 장관이름으로 최종적으로 받을 수 있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김상일)에서 평가를 담당하는데, 기술원은 녹색기술인증에서 첨단수자원, 환경보호 및 보전 등 6대 분야 16개 중점분야를 담당하고, 녹색사업인증에서 환경보호 및 보전 등 8대 분야 36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전체 인증 현황은 708개 업체가 신청하였다. 인증확정 255, 서류검토 230, 평가진행은 90개 업체로 인증 중 기술기술인증은 610개 업체가 신청하였고, 223개 업체가 인증이 확정되었으며, 녹색사업인증은 60개 신청업체 중 9개 업체가, 녹색전문기업은 38개 신청업체 중 23개 업체가 각각 확정되었다.
지난해 환경부 인증발급 현황으로는 신청기업 중 39개 기업인 45%가 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LS산전을 비롯하여 대윤계기산업, 대창, 엔바이오컨스, 에코필 등이 있다. 신청기술당 수수료 100만원, 녹색사업인증은 신청사업당 150만원이며 녹색전문기업 확인은 수수료가 없다.
■ 녹색인증 현황
구분 |
인증신청 |
서류검토 |
평가진행 |
인증확정 |
녹색기술인증 |
610 |
184 |
85 |
223 |
녹색사업인증 |
60 |
35 |
3 |
9 |
녹색전문기업 |
38 |
11 |
2 |
23 |
합계 |
708 |
230 |
90 |
255 |
■ 녹색금융상품(민간투자자)세제혜택
구분 |
녹색펀드 |
녹색에금 |
녹색채권 |
세제지원 내용 |
배당소득 비과세 |
이자소득 비과세 |
이자소득 비과세 |
가입한도 |
1인당 3천만원 |
1인당 2천만원 |
1인당 3천만원 |
만기 |
3년 이상 |
3년 이상 |
3년 이상 |
■ 녹색인증기업의 지경부 등 녹색인증 관계부처(8개)
구분 |
R&D 사업 |
교과부 |
21C프론티어연구개발 등 14개 사업 |
지경부 |
사업원천 기술개발 등 23개 사업 |
환경부 |
환경융합기초기술개발 등 5개 사업 |
국토부 |
건설기술혁신 등 9개 사업 |
농식품부 |
농림기술개발 등 4개 사업 |
방통위 |
전파방송원천기술개발 등 2개 사업 |
중기청 |
중소기업제품화기술개발 등 16개 사업 |
윤덕남(ydn@elnews.co.kr)
ⓒ 환경노정신문 & el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 & 이슈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기상청 역사 이래 산업발전 위한 R&D예산 20억원 책정 (0) | 2011.03.16 |
---|---|
[환경] 가축 매몰지 환경관리계획 수립지침 개정 (0) | 2011.03.16 |
[노동] BBS미용예술전문학교-아카데미 연합(2) (0) | 2011.03.16 |
[환경] 세계 저명 환경저널지 부편집장으로 선정 (0) | 2011.03.16 |
[환경] 이건영(주)빙그레 대표이사 한국플라스틱자원순환협회 4대회장 선출 (0) | 201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