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 수질 갈수록 악화된다
농업 저수지 4년새 4배나 수질 악화
농어촌공사 수초재배 등 효과없는 관리로
빈축
신기술 현장 적용하여 수질개선 효과 거둬야
▲ 관리부실로 썩어가는 저수지에 한해 10여건 이상 개발되고 있는 새로운 수처리 기술을 현장적용하는 등 제도적
대전환이 필요하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광역시 및 도를 포함한 전국 14개 지역 439개 농업용수 저수지에 대한 수질 측정
결과 호소수질 환경기준(COD기준) 4등급 이상의 저수지는 05년 131개소에서 09년 191개소로 60여개의 저수지가 수질이 악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증가했다는 것은 산화되기 쉬운 각종 유기성 폐기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그만큼
수질 오염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09년 12월 기준 COD 10㎎/L 이상을 보이는 악성 저수지는 경기도의 멱우저수지,
경상북도 가음저수지, 전북 기지저수지, 충남 순성, 전대, 초대 저수지 등으로 멱우저수지는 05년부터 지속적으로 COD 10㎎/L 안팎을 보이고
있고, 가음저수지는 05년 측정농도 8.4㎎/L에서 09년에는 11.8㎎/L로 4년만에 40%로 급격히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순성저수지는
05년 8.9㎎/L에서 09년 32.8㎎/L로 수질이 4배 이상 크게 악화 된 것으로 나타났고 전북의 기지 저수지, 충남 초대 저수지 등도
COD농도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용존산소(DO) 농도의 경우 4등급 이하의 저수지는 05년 79개소였던 것이 09년에는
129개소로 50개소나 증가했다.
반면 05년 카드뮴 검출 53개소, 납 검출 56개소였던 것이 작년 한해에는 납 검출 1개소로 중금속
검출은 점차 안정기로 접어들고 있다.
저수지는 도심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과거 농업용수로 저장해 둔 저수지들이 전국적으로 상당수
있지만 저수지에 대한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관리 주관기관인 농어촌공사에서는 수질관리를 위해 수초재배 등 아주 미약한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수초들도 겨울에는 수초들이 죽어 오히려
수질악화와 부영양화가 된다는 점에서 저수지에 대한 과학적인 수처리 시스템 도입이 절실하다.
한국농어촌공사의 김호일 수질환경팀장은
농업 저수지 관리대책으로 수질이 악화된 악성 저수지에 대해서는 연 4회 정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외 저수지는 2회에 걸쳐 모니터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밖에 주민 협의회 등을 구성, 지역주민과 공동으로 감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수질개선사업, 홍보,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비점 관리대책 수립, 자연형 정화 시설인 수생식물식재 설치, 유입수 관리대책 등이 있으나
수질조사와 같이 그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 오염원에 대한 대응은 관련 지자체에 시정 조치를 요구하거나 고발 조치를 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은 미비하고 형식적이라는 것이 지배적이다.
김팀장은 국내에서 태백산맥 동부 지역의 저수지가 대체로 깨끗하고 서해 평야지대의
저수지가 상대적으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애로를 밝히고 있다. 하지만 국가의 4대강사업을 추진하는 현실에서 썩어가고 있는 저수지를 이대로
방치한다면 국토의 아름다운 조화를 상실하게 하는 악성 요인으로 둔갑될 수 밖에 없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가 주도하는
환경신기술 및 국토해양부가 주도하는 건설신기술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처리에 관한 새로운 기술들이 한해에도 10여건 이상 개발되고 잇지만 정작
수질악화가 심화되는 저수지에 응용되거나 현장 실험을 통한 적극적인 반영은 없는 형편이다.
이처럼 도심주변 곳곳에 산재해 있는
수질악화가 염려되거나 오염현상이 가속화되는 저수지등에 중소기업이 개발한 새로운 수처리 시스템을 현장에 도입하여 응용한다면 중소기업은 기술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부나 지자체는 운영관리의 효과를 높인다는 점에서 제도적 대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급
|
상태 (캐릭터)
|
기준
|
수소 이온농도 (pH)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mg/L)
|
부유 물질량 (SS) (mg/L)
|
용존 산소량 (DO) (mg/L)
|
총인 (T-P) (mg/L)
|
총질소 (T-N) (mg/L)
|
클로로필 -a (Chl-a) (mg/㎥)
|
대장균군 (군수/100ml)
|
총 대장균군
|
분원성 대장균군
|
매우 좋음
|
Ia
|
|
6.5~8.5
|
2 이하
|
1 이하
|
7.5 이상
|
0.01 이하
|
0.2 이하
|
5 이하
|
50 이하
|
10 이하
|
좋음
|
Ib
|
|
6.5~8.5
|
3 이하
|
5 이하
|
5.0 이상
|
0.02 이하
|
0.3 이하
|
9 이하
|
500 이하
|
100 이하
|
약간 좋음
|
II
|
|
6.5~8.5
|
4 이하
|
5 이하
|
5.0 이상
|
0.03 이하
|
0.4 이하
|
14 이하
|
1,000 이하
|
200 이하
|
보통
|
III
|
|
6.5~8.5
|
5 이하
|
15 이하
|
5.0 이상
|
0.05 이하
|
0.6 이하
|
20 이하
|
5,000 이하
|
1,000 이하
|
약간 나쁨
|
IV
|
|
6.5~8.5
|
8 이하
|
15 이하
|
2.0 이상
|
0.10 이하
|
1.0 이하
|
35 이하
|
-
|
-
|
나쁨
|
V
|
|
6.5~8.5
|
10 이하
|
쓰레기 등이 떠있지 아니할 것
|
2.0 이상
|
0.15 이하
|
1.5 이하
|
70 이하
|
-
|
-
|
매우나쁨
|
VI
|
|
-
|
10 초과
|
-
|
2.0 미만
|
0.15 초과
|
1.5 초과
|
70 초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