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길샘의 문화산책-이충용의 시,산문집 <풍란 향기>-제비꽃

이충용의 시,산문집 풍란 향기

삼색제비꽃

 

제비꽃

 

                         이충용

 

제비꽃, 한식날 부모님 산소에 가면

해마다 나보다 한 발 앞서 와서

산소 주변을 자주색으로 장식하고

부모님 말벗이 되어주는 꽃

늘 고맙고 미안하지

 

제비꽃,별명도 많지

강남 갔던 제비가 올 무렵에 핀다고 제비꽃

뒷모습이 오랑캐의 투구를 닮았다고 오랑케꽃

꽃대를 엮어 반지를 만든다고 가락지꽃

나물로도 먹을 수 있다고 외나물꽃

카가 작다고 앉은뱅이꽃

 

이른 봄 언 땅을 뚫고 올라와

연고가 있는 무덤

연고가 없는 무덤

가리지 않고 외로운 혼령들을

위로해주는 효심 지극한 제비꽃

 

오늘 그대에게 효자꽃이란

새 별명 하나 더 붙여주고

부모님께 올린 잔으로

그대에게도 술 한 잔 올리네.

 

*충북 영동산,동국대 국어국문학과,경기도,인천시 고교교사, 용인 백안종고,부천남중교장, 시집으로 <야생화>,<빈 가슴에 노을이 타면>6시집 출간,

 

**제비꽃,노랑제비꽃,알록제비꽃등으로 불린다, 바이올라(Viola),바이올렛은 제비꽃류의 합친 이름이다.

이외에도 고깔 모양이라고 고깔제비꽃콩알처럼 작다고 하여 콩제비꽃’ ‘씨름꽃’,‘장수꽃’‘병아리꽃’‘앉은뱅이꽃한방에서는 여의초(如意草)’‘전두초(箭頭草)’‘자화지정(紫花地丁),근근채(菫菫菜)라고 부른다

시인이 작명을 하므로서 이제는 '효자꽃'으로도 불려지게 되었다.

 

(환경경영신문www.ionestop.kr김동환 환경국제전략연구소 소장, 환경 경영학박사, 시인, 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