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길샘의 문화산책-성영희의 시집<물의 끝에 매달린 시간>

길샘의 문화산책-성영희의 시집<물의 끝에 매달린 시간>

 

 

염원

 

                  성영희

 

 

성북동 길상사에 가면

성모마리아인 듯 부처인 듯

두 염원 하나로 모은

관세음보살상 있다

모든 조화와 융합이란

이렇게 맑고 온화한 것이라고

고요한 미소로 화답한다

불교계 조계종 해봉당 자승스님이 불로 세상을 하직할 즈음 을 만났다.

물길을 따라 시를 읽어 가지만 열기가 쉽게 가라앉지 않는다.

 

-겨울이면 제 몸의 물기를 모두 빼서/어린 생명들을 덮어주는 것도/나무들의 득도일 것입니다-못 박는 나무들부분

-무게가 없는 습성들은 쉽게 가라앉지 못한다/물과 바람결이 섞여 만들어진/새파란 바다 한 장- 각주부분

-기다림도 오래되면/저렇게 기우는가/지붕도 담장도 기우뚱 저무는데-폐가의 봄부분

-뽀족한 짐승의 울음소리가/동그란 파장으로 번지는 동굴 안/ 한 줄기 빛이 물방울에 걸렸다/물의 끝에서 시간이 다 빠져 버리면/세상은 잔물결 하나 없는 대양이 될까-물의 끝부분

-나를 따라온 뒤가 있다 앞을 보며 뒤를 볼 수 있다는 것은 지나온 길을 가늠해 보라는 백미러의 조언,-뒷모습을 접다부분

-수국무늬 브라를 아끼던 그녀는/지금쯤 보랏빛/물의 나라에 도착했겠지/슬픔에 물을 섞으면 저런 색깔이 될까-수국부분

-물소리는 귀가 밝아/청력으로 범란한다/어떤 소리가 저렇게 무성해져서/저희들끼리 입을 만드는가-물소리는 귀가 밝아부분

-슬픔이란 범란과 혼탁을 거쳐/강물 속같이 투명에 이르는 일-장마부분

 

 

성영희 시인은 글자가 박힌 마지막 장에 긴 침잠의 시간을/ 한방울 물의 소리로 깨워 본다/구름과 별과 바람을 다 담을 수는 없어도/한모금,사발에 담긴 냉수이기를-속삭이듯 시를 활자화 했다고 말하고 있다.

*충남 태안산으로 <경인일보> <대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으로,생을 물질하다」 「귀로 산다가 있다.

 

(환경경영신문www.ionestop.kr김동환 환경국제전략연구소 소장, 환경 경영학박사, 시인, 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