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화가 아니야 모두 중국산 인조조화야-인조조화 사용금지 시민운동 전개하자

생화가 아니야 모두 중국산 조화야

인조조화 수입금지하고 천연꽃으로

인조조화 사용금지 시민운동 전개하자

화려하기만 한 인조조화

화려함에 속지마라, 향기도 없는 한갓 폐기물 꽃이다.

합성섬유, 플라스틱, 철심으로 만들어져 썩지 않아 소각해야만 하므로 미세먼지 증가의 원인이 되고, 타지 않는 철심은 슬러지와 함께 매립하느라 처리에 곤욕을 치러야 하는 인조조화가 여전히 수입되어 국내에 특정폐기물만 증가시키고 있다.

인조 플라스틱 조화는 시들지 않고 오랫동안 장식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산 조화 수입이 급증하고 있지만 결국 조화는 플라스틱 폐기물로 처리되어야 한다.

향기없는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기 위해 색상만 화려한 쓰레기를 수입하는 격으로 소비자들도 인조조화를 사용하지 않는 시민사회운동이 절실하다.

 

관세청자료(국회 윤준병의원)에 의하면 인조조화는 대부분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어 국내 생산보다는 중국등 25개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연간 플라스틱 인조꽃(조화) 수입량은 20192,318, 20202,092톤에 달하고 20218월말까지 수입된 물량만도 1,488톤에 달한다,

인조조화에 대한 수입금액은 20191,583만 달러(1879천만 원), 20201578만 달러(1873천만 원)로 수입물량이 10%(226)정도 줄었으며 20218월말까지 수입금액은 1,1351,587달러를 기록하고 있다.(2021116일자 환경경영신문 기사화)

인조조화는 추석등 명절을 기해 전국의 국립묘지와 공원묘지등에는 성묘객이 가져다 놓은 플라스틱 인조 꽃이 넘쳐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자연 꽃들과 절묘할 정도로 흡사하게 제작되어 인테리어 장식용으로도 인조조화가 상당수 유통되고 있어 플라스틱 조화 수입이 증가되면서 시민과 정부가 펼치는 플라스틱 줄이기 운동과도 역행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단체들이 플라스틱줄이기 실천운동의 한 분야로 인조조화를 사용하지 않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공공기관의 행사장에서도 자주 목격되는 인조조화를 비롯하여 개업식과 애경사에 플라스틱 조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해 정부와 소비자단체들도 침묵하고 있어 정부 지원이 없는 사회적 운동은 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환경경영신문, www.ionestop.kr 조철재부장)

 

조화(造花)

               길샘 김동환

 

그 화려함에 속지마라

향기도 없고

영혼마저 없다

한밤 불빛아래

어루만진 살결은

끈적한 따스함이라도 있지

현란한 색상뒤에 숨은

말라 비틀어진 체온

그대만 혼미할 뿐이다

철좀 들어라, 이눔아

 

*길샘 김동환의 시 <조화>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