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길샘 김동환이 만난 책 한권- 박응렬의 <그래서,산티아고>/문화탐방기며 여행참고서며 순례기

길샘 김동환이 만난 책 한권- 박응렬의 <그래서,산티아고>

 

인생의 새 여정을 꿈꾼다면 이 책을 읽어라

순례기며 문화탐방기고 자전적 회상기인 책

여행가들을 위한 기초 참고서며 자연 탐색서

 

34일간 915km를 걸어가며 구워낸 <그래서,산티아고>는 단순한 신앙인들의 성지를 찾아 순례길(까미노/Camino))을 떠나는 순례기가 아니다.

스페인의 역사를 보편적 시각에서 더듬어 볼 수 있고 헤밍웨이가 왜 팜플로나 지역을 사랑했는지,‘돈키호테의 저자 세르반테스의 오르비고다리를 연상하게 하는 문화사적 문화탐방기이다.

어머니의 젖이 말라 큰누나 젖을 먹고 자랐고 세상 물정을 모르며 살았지만 자식을 위한 욕심만은 누구도 따를 수 없었던 전형적인 농사꾼인 아버지, 1984LA올림픽에서 레슬링 금메달을 땄지만 치악산을 등산하다 고인이 된 처남인 김원기선수등 가족과 어린날의 자전적 생활사가 옥수수빵 향기로 채색된 자전적 회상기이기도 하다.

여행을 떠나기 전의 반드시 지켜야 할 몸관리등 초보 여행객들에게 도움이 되는 여행 기초참고서가 되기도 한다.

-여행은 갈까 말까 할 때는 무조건 가고, 여행 가방에 넣을까 말까 하는 것은 무조건 뺀다-라는 여행 고수의 명언이 담겨 있지만 이미 저자는 여행 첫날 저녁 기장 떡 몇 조각을 가방에 넣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있다.

 

이 책을 다듬어가며 " 어머니가 힘들게 걸으셨던 그 길을 밟으며 많은 걸 생각하게 된다, 이제 육십이 넘은 적지 않은 나이의 나는 어머니처럼 순박하고 헌신적인 삶을 살아가려 노력하고 있는가? 이 길이 나를 되돌아보게 한다."고 저자는 고백하고 있다.

4장으로 단락진 이 책은 1몸의 길에서는 부산하게 설레는 출발 선상의 고백을 비행기에 담아 풀어 놓은 까미노 첫날, 피레네 산맥을 넘으며 나누는 헤밍웨이와의 대화, 용서의 언덕, 순례자의 마을 에스테야, 이라체 수도원의 와인, 멋진 길 산토 도밍고,부르고스 산타 마리아 대성당을 그려가고 있다.

- 지금 구름 속을 걷고 있다, 첫날부터 이런 환상적인 장관을 만나다니, 지리산이나 설악산처럼 높은 산에 오를 때 가끔 만끽했던 아름다운 풍광을 이곳 피레네에서 맞이했다.-

 

2장에서는 메세타 평원,카스티야 운하, 메세타 평원 17 km,,레온에서의 휴식,돈키호테와의 결투등이 담겼다.

-나는 걸으면서도 주변을 자세히 관찰하는 습관이 있다. 특히 작물이나 과일나무,풀이나 나무등 식물에 대한 관심이 많다.(중략) 보통은 어느 정도 먼 거리에서부터 마을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온타나스는 갑자기 불쑥 튀어 나온다, 언덕 아래 숨어있는 아담하고 예쁜 마을이다, 마을을 보고 다들 웃음을 터트렸다, 너무 작고 귀여워서 절로 웃음이 나온 것이다, 20가구도 안 되는 것 같다.-

3장에서는 비야프랑카, 빗속의 순례자, 사리아, 곤사르에서의 위기, 멜리데에서의 쁠뽀(문어요리)먹기로 구성되었다

-오 세브레이로 마을에 들어서니 기분이 묘하다. 전혀 보지 못했던 파요사라는 고개 켈트족의 전통가옥 마을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동화속에 나오는 숲속의 요정이 사는 마을 같아서 약간은 신비스러운 느낌마저 든다, 먼 옛날 로마 시대전부터 있던 마을 형태가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한다. 장날인지 우리의 오일장 같은 장이 열린다. 파는 옷들이 겨울옷인 걸 보니 소문대로 여기가 춥긴 추운 모양이다, 구경삼아 시장에 갔다가 문어를 한 접시 시켰더니 16유로란다. 갈리시아에서 유명하다는 쁠뽀를 이곳에서 맛보게 된다.-

 

4장에서는 피스테라에서의 묵상, 일출이 아름다운 갈리시아, 땅끝 마을 피스테라의 전경이 펼쳐지면서 자신의 역정이 깨소금처럼 합류되어 어느 한 인생의 여로와 순례자의 여로가 시나브로 겹쳐진다,

-34일 동안 915km! 참 많이도 걸었다. 순례길을 걸으면서 일상생활에서는 결코 맛볼 수 없는 경험을 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 자신이 조금은 성숙해진 느낌이다, 자신을 찾아 떠나는 산티아고 순례길! 꼭 한번 다녀오라고 권하고 싶다.-

 

*저자 박응렬(57년생,기술고시 22,영광읍 녹사리 대장동 출신,영광중앙초(3),영광중(45),영광종고(26),전남대(농학과),서울시립대학원(환경공학),석사, 광운대학교 박사과정,부인 김혜숙과 12)은 총무처,국무조정실,환경부 한강청유역관리국, 호주 남호주대유학, 생활하수과,국립생태원 건립추진기획단 부이사관, 환경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장, 영산강유역환경청장,한국환경공단 자원순환본부장, 전남환경산업진흥원장을 지냈다.

 

이 책을 엮으면서 방대한 자료 수집과 꼼꼼하게 살피면서도 독자들과의 눈높이도 맞춰가며 순례기를 완결했다.

인내력과 집념이 누구보다 강한면을 이 책에서도 여실히 보여 준다.

자연을 관조할 줄 알고 모든 사물을 격의 없이 받아 주는 마음이 있으며 꼼꼼하게 살필 줄 아는 촘촘함이 살아 있는데 환경부에서의 활약상은 왜 그리 변변함이 없었을까 의구심마저 든다,

차라리 고시합격 후 915km의 까미노를 강행했다면 좀 더 멋진 환경인으로 거듭났을텐데 아쉬움이 밀려온다.

자연이 던져주는 화두를 읽으며 진취적이고 창의적이며 순응하면서도 도전적인 정책을 통해 자연의 물음에 경쾌한 발자욱을 남겼을 텐데 말이다.

무엇이 저자를 두려움에 가둬놨을까. 그 의문이 이 책에서 저녁노을 속에 풀리는 듯 하다.

-스페인에서 만난 법면은 대부분 흙 반 자갈 반인 곳이 많았다. 어떤 지질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런 지반으로 만들어진 도로나 농경지에는 자갈이 많을 수밖에 없다.흙길을 기대하고 왔는데 자갈길뿐이라 아쉬울 따름이다. 그래도 앞으로 가야 할 길은 많이 남아 있다. 흙길을 만나 맨발로도 걸을 기회가 왔으면 좋겠다-

그렇다. 기술고위공무원으로 자갈길을 흙길로 만들 수 있었을 텐데 그런 아쉬움이다.

 

(환경경영신문www.ionestop.kr김동환 환경국제전략연구소 소장, 환경경영학박사, 시인, 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