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하수도협회 인증 해외제품 8%차지

 

상하수도협회 인증 해외제품 8%차지

지방상수도 현대화 사업에 3조원 투자

수공관할 수도미터기 교체 11천전

복구실적 의성,신안,서천순으로 높아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노후상수관망 103개소와(64,도농복합시 34,5) 노후정수장 24,지자체 30개 정수장(17,도농복합시 10,3)에 대한 사업으로 상수관망에 23천억원,정수장사업에 7천억원이 투자된다.

국고비율은 상수관망,정수장에 각각 50%가 지원되며 매년 10-20%씩 차등 지원된다,

목표는 5년 이내에 상수관망 유수율을 85%로 올리고 정수장 먹는 물은 수질안전에 3-4년만에 완료해야 한다.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총 8차에 걸쳐 선정하며 올해부터 2028년까지 12년간 사업을 펼친다.

올해는 관망은 1그룹인 군단위에 20개소,정수장 2개소가 선정됐다.

18년과 19년에는 군단위에 관망 15개소 정수장 7개소등 22개 지역이, 20년에는 관망은 군단위 7개소,도농단위에 8개소 정수장은 군단위 1개소, 도농 4개소, 21년에는 관망은 군 7개소, 도농 8개소, 정수장은 도농 3개소, 1개소, 22년에는 도농 9개소, 1개소(관망),정수장은 도농3개소, 1개소, 23년에는 관망은 도농 9개소, 1개소 정수장은 시 1개소, 마지막 24년에는 상수관망에 시 3개소에 지원된다.

도농복합시는 경기도에 여주,평택,포천, 강원도는 강릉,삼척,원주, 충남은 공주,당진,보령,서산,천안, 충북은 청주,충주, 전북은 군산,김제,익산, 전남은 광양,순천,여수, 경북은 경산,경주,김천,문경,상주,안동,영주,영천,포항, 경남은 거제,김해,밀양,양산,진주,창원이며 시단위는 오산,동해,속초,전주,목포가 해당된다.

수자원공사가 올 17년 현대화사업을 추진하는 지역은 함양군(176,건화컨소시엄),횡성군(244억원,한국종합기술컨소),태안군(258억원,도화컨소),서천군(253억원,건화컨소),장수군 (203억원,신우엔지니어링),신안군(243억원,도화),의성군(334억원,한국종합엔지니어링),부여군(195억원,한국종합기술),단양군(395억원,도화)등이다.

노후수도미터는 연차별로 11천전 교체예정이다.

17년부터 21년까지 교체되는 수도미터기는 횡성 (1,353-17,1,170-18,1,295-19,379-20,1,033-21) 부여는 (1,263, 1,279,1,317,1,136,438)서천은 (1,919,2,365,2,295,2,060,1,556),태안(159-18,174-19,242-20,298-21),장수(2,177-18,241-19,204-20,787-21),신안 (2,847, 2,262,331,628,410),의성 (2,882,3,296,2,112,1,983,1,878),함양 (1,163,1,406,859,1,397,670)에 수도미터기가 교체된다.

1년간 누수탐사 및 복구실적은 의성이 가장 높은 275,신안 173,서천 168,부여 164,함양 153,횡성 48,태안 38건순이다.

그러나 유수율에 대한 177월까지의 제고성과를 보면 태안이 가장 높은 79.3%이며 서천 70.4%,횡성 65.5%,함양 63.2%, 장수 59%, 신안과 의성은 50.3%,부여는 48.2%순이다.

한편 상하수도협회의 위생안전기준 인증현황을 보면 11324,12657,13382,14193,15206,16223건이며 올해는 84건등 총 2,069건을 인증했다.

인증기간이 지난 정기적인 인증건수는 14369,15710,16239,17541건등 총 1,859건이다.

품목별로 보면 관류가 가장 많은 770,밸브류 455,펌프 및 물탱크류 238,수도꼭지등 200,도료 138,수도미터 유량계 76,기타 192건등 2,069건이다.

해외제품중 인증받은 기업은 중국이 95건으로 가장 많으며 이탈리아 12,독일 10,대만 7,캐나다 7,미국 5,일본 5,기타 27건등 165건으로 전체 인증건수의 8%를 차지한다.

성능인증(KS,KWWA,CP)의 경우에는 KS는 총 120건이 관류에서 받았으며 그중 9건이 해외제품이다.

상하수도협회(KWWA)인증은 관류 24,밸브류 25,막모듈류 19,보호통류 13,기타 35건등 총 116건중 해외제품은 8건이다.

CP인증은 관류 99, 밸브류 107, 유량계 18,펌프류 17, 기타 28건등 총 269건중 해외제품은 9건을 받았다. (환경경영신문/조철재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