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국의 물 산업-정수기산업의 중국시장동향-3 공간절약형 컴팩트 정수기가 인기

길샘 2019. 11. 28. 23:25

2019.12. 264

중국의 물 산업-정수기산업의 중국시장동향-3

중국 정수기 시장규모 전년대비 33% 성장

공간절약형 컴팩트 정수기가 인기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AS체계 구축 필요

 

정수기 시장 성장 및 보급률 경향

 

중상산업연구원(中商産業硏究院)이 발표한 20182023년 중국 정수기 시장 전망 및 투자기회 연구보고2018-2023年中國淨水器市場前景及投資機會硏究報告에 따르면 중국 정수기 시장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2017년에는 271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33.2% 성장하였다.

그 중 온라인 시장규모는 213억 위안오프라인 시장규모는 58억 위안으로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판매가 주류를 이루는 게 특징이다.

중국 정수기시장은 빠르고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중국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 수질 차이에 따른 맞춤형 제품 제작이 필요한데 중국지역 간 수질차이가 뚜렷하여 각 지역특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지역화 시장의 특징이 더 뚜렷해지고 지역 간의 다른 상품과 더 많은 브랜드가 발전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사후관리능력이 향후 경쟁력을 판가름하게 된다.(AS 시스템 구축)

정수기 내부의 활성탄, 여과막 등의 교체와 서비스 조직이 관건이다.

고객에 장기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정수기 품질 및 브랜드의 가치에 도움이 되며 정수기 상품은 대용량, 긴 수명, 높은 절수, 스마트화의 방향으로 발전 중이다

역삼투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중국 시장에 적합하며, 공업오염, 농업오염에 대응 가능한 정수기가 선점효과가 있다.

전문기술 축적과 스마트식과 IOT 방식의 적용이 경쟁력(필터 교체 알람, 수질데이터 등)을 지닐 수 있다.

공간절약형 컴팩트 정수기가 인기 있는데 컴팩트형복합필터절수기능, 긴 제품수명스마트화 등의 기능은 현재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정수기 제품 트렌드이다.

그 중 최근 컴팩트형 정수기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중이캉 통계에 따르면 컴팩트형 정수기의 2017년 오프라인 판매점유율은 22.9%, 온라인 판매점유율은 4.3%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2018 19월 기간 오프라인 판매점유율은 46.9%, 온라인 판매점유율은 11.6%를 차지하여 전년 동기대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역삼투막(RO)과 복합필터 적용제품 인기

 

중이캉 통계에 따르면 역삼투막 필터를 적용한 정수기가 현재 중국 온·오프라인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다.

복합필터를 적용한 제품 또한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8 19월 기간 복합필터 정수기의 온라인 판매액은 전년 동기대비 259% 증가하였으며이에 따라 온라인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대비 5.3% 증가하여 9.9%를 차지하였다.

같은 기간 복합필터 정수기의 오프라인 시장판매액은 전년 동기대비 152% 증가했으며 오프라인 시장점유율은 전년 동기대비 5.7%증가하여 14.1%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가정용정수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나 보급률은 10% 미만으로 향후 시장발전 잠재력이 상당하다.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가정 정수기 보급률은 15% 미만이나 일반 중·소도시는 5%에도 미치지 못하고 농촌은 거의 공백상태이다.

반면 외국의 가정 정수기 보급률은 50% 이상에 달하며 그 중 유럽, 미국 지역은 95%, 일본은 70%의 높은 수준과 비교할 만 하다

현재 중국의 기관, 학교, 부대, 호텔 등에서 정수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향후 연간 1000억 위안의 생산액을 창출할 것이며, 그 중 가정용 정수기는 약 1500억 위안의 시장규모를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정수기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기업수도 점차 증가해 현재 3000여 개에 달한다.(한국은 1백여 개 업체, 대기업 10개사)

2000년 이래 생산기업은 연간 3040% 증가하나 대부분 소규모 기업으로 누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며 AS 수준이 떨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체계가 불안정한 상황이다.

3000여 정수기 업체 중 40%인 약 1200개의 업체만이 위생부의 승인을 받았고, 기술능력이 부족한 소규모 업체는 국내 및 수입 브랜드 제품을 모방하기도 하여 소비자의 권익을 해치고 있다

중국 내 가정용정수기는 대부분 수닝(蘇寧)과 같은 대형 가전제품 매장을 통해 유통되며 최근에는 주택 인테리어 시에 소비자가 직접 설치하는 경우도 늘어나는 추세이다.(국내에도 과거 대기업 건설사가 아파트건설을 하면서 가정용정수기를 부착하여 주택을 공급하기도 했다.)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유통되는 제품은 많으나 하자가 있는 제품이 많아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건자재 전문 대형매장에 입주해 제품홍보와 전시를 꾸준히 진행한다면 중국시장 공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중국은 가정용정수기의 AS가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므로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가정용정수기 기업은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함께 우수한 AS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현지 문화와 관습 이해를 통한 시장 공략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원: 중국질량인증센터(中國質量認證中心), 아이컨가전닷컴(艾肯家電網), 중국방송망(中國廣播網), 지우정지엔차이왕(九正建材網) ,KOTRA 베이징 무역관 등 종합)

 

(원영재박사:서울시환경정책자문위원,중국정부해외고충인재클린아시아대표,한국융합수학회이사)

                                              -환경경영신문/환경국제전략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