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필리핀 불법폐기물 현지 소각처리가 효율적

길샘 2019. 7. 1. 01:02

필리핀 폐기물 현지소각처리가 효율적

현지 소각처리하면 열에너지 활용높아

병원성폐기물등 소각처리도 가능

 

필리핀 폐기물 처리에 대해 한국형 소각시설로 현지처리 방안이 필리핀 당국자의 이해 부족으로 사실상 한국 운반 처리로 결정됐다.

필리핀 현지 한국산 불법 쓰레기는 5,100톤 가량으로 페기물성상은 플라스틱소재와 우드칩,폐합성수지등 생활폐기물이 대부분이다.

지난 23일 필리핀에서 국내로 다시 반입된 폐기물은 1,200톤으로 당시 운송비용만 47430달러(5,400만원)를 부담한바 있어 5100톤을 운반할 경우 3억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불법폐기물에 대한 처리비용을 추산하면 소각처리의 경우 톤당 21만원에서 30만원정도 비용이 소요되는데 소각처리비만 15억원이 투자되어야 한다.

이에 폐기물 전문가들은 필리핀 현장에서 소각처리하고 기술과 소각장치를 필리핀 정부에 기증하므로서 한국이 저개발국가에 지원하는 각종 환경산업지원정책과도 맞물려 필리핀도 소각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적극 검토하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문제는 선진국형 중소형 소각시스템 국내 기술이 과연 얼마나 있냐가 관건이었다.

과거 2000년경 환경부는 당시 소각 기술로는 대기오염 및 다이옥신 검출등 대기오염방지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관리의 어려움으로 중,소형 소각로에 대한 국내 설치를 전면 금지했다.

이에 국내 중소형 소각기술은 사실상 국내에서는 폐업 상태였으나 고려소각로등 2개사가 해외 수출 및 국내 소각설비에 대한 유지보수사업으로 연명해왔다.

고려소각로(회장 김향원)는 유럽연합의 인증인 CE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유럽(스페인)의 영향권에 있는 필리핀도 기술검증에서 매우 우호적인 호감을 표한바 있다.

환경오염물질을 최적화한 고려 소각장치로 연소효율이 좋고, 이디오피아,인도네시아,캄보디아,탄자니아등 7개국에 수출하고 있는 국산 기술이다.

보일러 스팀장치로 호환하여 에너지화에 효율적으로 선진국에서는 일본,미국등의 경쟁사가 있으나 가격면에서 현격하게 저렴하여 수출경쟁력이 높다.

인구 1억명의 필리핀은 스페인과 미국의 통치를 받은 나라로 최근들어 대기오염관련법등 환경법이 매우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강화된 대기오염관련법으로 일부 저개발국가가 운영하고 있는 단순 소각시설보다는 필리핀 현지 관련 법을 통과할 수 있는 포괄적 대기오염정책에 위배되지 않는 (필리핀 법률 20)기술로 소각시설을 갖춰야 하는 숙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저개발국의 소규모 소각시설로는 필리핀 정부의 강력한 규제제도로 법적 통과가 오렵지만 고려소각로가 개발한 복합대기오염방지방식은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완벽하게 해결하여 미국,일본등 선진국과도 대등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저개발국형 소각시설은 단순한 대기오염방지시설인 건식방식인 사이크론방식으로 선진국형 대기오염관련 법에는 미흡하다.

복합 대기오염방지시설 소각방식(KRHTS)의 주요 설비 구성은 폐기물 투입설비- 소각 연소설비-연소가스 냉각설비 -건식 세정 흡착시설 - 여과집진기 - 유인송풍기 연돌 형식을 갖추고 있다.

필리핀 현지에 복합소각시설을 갖추면 소각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재활용 할 수 있고 특히 병원성 감염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어 위생처리에서도 매우 좋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시간당 처리량이 350kg의 경우 24시간 가동시 18톤 처리가 가능하며 5천톤의 경우 625일 운영할 수 있다.

한국 대표단은 지난 613일 한-필리핀 협상에서 필리핀 잔류 폐기물의

국반송, 현지처리(소각시설 설치 후 소유권 이전, 현지 처리 후 비용지급)

방안을 필리핀 측에 제안했으나 최종적으로 필리핀 정부가 필리핀 항구로 동

폐기물을 운반하면, 한국정부가 한국으로 반출하는 것으로 합의한바 있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국제전략연구소 김동환소장은 소각장치는 부품산업이 아니고 시스템 사업이다. 그나마 국제 경쟁력이 있는 국내 소각시설이 있어 이를 활용하여 필리핀 현지에서 소각처리하는 것이 한국과 필리핀 모두 효율성이 높다.이같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부를 비롯하여 외교부,산자부등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선진국형 국내 소각시스템이 해외인지도를 높이는 발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이 아쉽다. 과거 평택미군기지 건설에서도 모든 주도권을 미국 방위청에서 주도하다보니 한국땅에서 한국 자본으로 건설되는 현장에 국내 기술과 상,하수도 관련 제품(밸브.계량기,파이프등)들이 제대로 접목되지 못하고 단순한 건설공사만 수행한적이 있다.’라고 말했다.

필리핀 협상단에는 정영대 한강유역환경청 환경관리국장이 단장으로 협상을 진행한바 있다. (환경경영신문/박남식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