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화재- 야생동물의 질병 그 뿌리를 찾는다
출판화재-
야생동물의 질병 그 뿌리를 찾는다
조류인플루엔자,메르스,사스는 어디서 오나
과일박쥐에게서 헨드라바이러스에 감염된 말과 니파바이러스에 감염된 돼
지,북은뇌조와 고산토끼에게 양도약병바이러스에 감염된 양, 누에 의해 악
성카타르열에 감염된 소,오소리,엘크에 의해 우결핵에 걸린 소와 사슴, 여
우에의해 포충병에 걸린 말과 양,흰꼬리사슴에 의해 뇌수막충증에 걸린 라
마와 양등 각종 질병등을 옮기는 근본 원인을 찾아가는 학술서적이 최초
로 번역 발간됐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의 바이러스는 철새, 닭, 오리 등 조
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로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지역에서 집
중적으로 발생하여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를 줄여 메르스라고 부
른다. 신종 베타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으로 2003년 발생한 중증급성호
흡기증후군(SARS)과 유사하나 치사율은 30% 정도로 높다.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는 2002년 11월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병이 시작되어 수 개월 만에 홍콩, 싱가포르, 캐나다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
된 신종전염병등이 잘 알려져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이희철)은 이같은 인간과 동물 간의 질병을
생태적 인과관계로 풀어 낸 에코인사이트 시리즈 ‘야생동물의 질병’을 발
간했다.
‘야생동물의 질병’은 캐나다 출신 수의병리학자 게리 우베저(Gary A.
Wobeser)가 30년 이상의 연구 결과와 경험을 토대로 2005년 출간한 학술
서를 국립생태원 동물병원부에서 국내 사례와 사진 자료 등을 보강하여
번역한 책이다.
이번 번역서는 조류인플루엔자, 메르스, 사스 등 ‘인수공통 감염병
(anthropozoonosis)’ 관리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다.
인수공통 감염병을 숙주와 유지숙주를 세분화하여 인간과 가축, 야생동물
이 공유하는 병원체를 실제 역사적인 사례와 표를 이용해 알기 쉽게 설명
하고, 인수공통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수의사, 생태학자는 물론 야생동물학자, 집단생물학자, 공중보건
종사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저자는 캐나다 서스캐처원(Saskatchewan) 주 출신으로 1951~1952년 가축에서 발
생학 구제역 조사를 보조하면서 수의학을 알게 되었다. 올레 닐슨(Ole Nielsen) 박
사의 권유로 1969년 서스캐처원 수의과대학에 합류한 후 서스캐처원 대학에서 박
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73년 수의병리학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현 서스캐처원 대학 교수로 140편 이상의 논문과 야생동물의 질병에 관한 학술
총서를 다수 집필하였으며,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독창적인 견해와 야생동물
질병의 포괄적 접근 방법으로 동물병리학의 새로운 획을 그은 수의병리학자이
다.
최근 사람에게 발견되는 신흥 감염병 대다수는 동물과 공유하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다. (환경경영신문/인턴기자 조윤강)
※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
인간의 질병 | 관련 야생동물 |
중증호흡기증후군(SARS) | 조류 |
조류인플루엔자(AI) | 조류 |
한타바이러스호흡기증후군 | 설치류 |
신증후군출혈열 | 설치류 |
라임병 | 설치류, 조류, 사슴 |
광견병 | 개과, 설치류 등 |
쯔쯔가무시증 | 설치류 |
말라리아 | 모기 |
렙토스피라증 | 설치류 |
일본뇌염 | 모기 |